SBS 예능/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꼬꼬무정규] 일제강점기 캄보디아 오지 훈 할머니, 108화 231228

라끄소식TV 2024. 1. 13. 20:00
반응형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정규, 108화
장도연 : 서경석
장현성 : 김미경
장성규 : 배다해

2023년 12월 28일 방송


1.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정규, 108화
  ① 오지 할머니의 비밀
⑴ [꼬꼬무 108회 요약] “여기 그때 일본군들 안 있었어요?” 캄보디아 오지에서 살아 남아야 했던 할머니의 비밀

 

캄보디아에서 만난 한국인 할머니?!

기연 씨와 친구 광준 씨는 싯나의 할머니를 마주한 순간, 당황스러운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할머니의 캄보디아 이름은 ‘훈’. 훈 할머니의 첫인상은 누가 봐도 캄보디아 토박이였다. 까무잡잡한 피부에 짧게 자른 머리, 두꺼운 안경 뒤로 보이는 큰 눈. 심지어 훈 할머니는 한국어를 한 마디도 하지 못했다. 한국과 관련된 기억은 성을 뺀 이름과 희미한 고향 지명뿐, 그런데도 자신이 끝내 한국인이라고 주장하는 훈 할머니, 훈 할머니는 정말로 한국인이 맞을까?

자신이 캄보디아 오지 마을에 살게 된 이유를 힘겹게 고백하기 시작한 훈 할머니, 그 사연은 매우 충격적이었다. 할머니가 캄보디아에 온 시기는 1942년. 17살 무렵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끌려왔다고 했다. 할머니는 해방 후에도 한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일본군 위안부였다. 살아남기 위해 살아야 했던 시간 속에서 할머니의 기억엔 자신의 한국 이름 나미와 그리운 고향 지명 진동만이 남았다.

1997년 7월, 수많은 카메라 앞에 선 훈 할머니. 마침내 55년 만에 한국 땅을 다시 밟았다. 직접 고향과 가족을 찾기 위해 한국에 온 할머니는 기자들 앞에 서자 삐뚤빼뚤하게 직접 한글로 쓴 종이 한 장을 들어 보였다.

‘내 이름은 나미 입니다. 혈육과 고향을 찾아주세요’

할머니가 기억하는 고향 진동은 어디일까? 전국을 돌아다닌 끝에 마침내 마산시 진동면을 방문한 할머니의 눈이 반짝인다. 어릴 때 뛰어놀던 시냇가와 앞산의 절. 모든 풍경이 할머니의 고향이라 말하고 있었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할머니의 가족은 나타나질 않는다. 절망에 빠져있던 그때, 커다란 가마솥을 보며 무심코 기억 한 토막을 떠올리는 할머니. 그리고 이 말 한마디를 단서로 또다시 할머니 가족을 찾아 나선 기자가 있었다.

과연 훈 할머니는 그리운 가족과 만날 수 있을까? 평범한 삶은 잃었지만, 고운 심성과 미소는 평생 잃지 않았던 훈 할머니의 그날 이야기를 장트리오가 전한다.

캄보디아와 고국 사이…위안부 피해 ‘훈 할머니’를 아시나요

 

캄보디아와 고국 사이…위안부 피해 ‘훈 할머니’를 아시나요

‘훈 ’이라는 이름의 한국인 할머니가 캄보디아 프놈펜 북쪽의 조그만 마을에서 살고 있다 . 한국 이름은 오니 , 경남 진동이 고향이라고 말했다 . - <프놈펜 포스트> 1997년 6월 13일 치 - 오늘로

www.hani.co.kr

 

일본군 위안부

 

일본군 위안부 - 나무위키

취업알선 브로커나 취업사기 등을 통하여 의사에 반하여 일본군 위안부가 된 사례가 다수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의 자유의 제한과 같은 인권 침해 사례, 급여와 연봉, 복리후생 그리고 일본 정

namu.wiki


 

반응형